본문 바로가기

기타 식품 지식

(3)
개발자의 제품 개발(NPD)을 위한 10가지 필수 단계 : 컨셉부터 마켓까지 이번 게시물에서는 식품 개발자/연구원의 관점에서 신제품 개발(New Product Development)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. 현대의 경쟁적인 시장에서 새로운 제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출시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. 이 글에서는 몇몇 예시를 들며, 개발 과정의 주요 단계와 각 단계에서 업무가 필요한지 살펴보겠다. 식품 개발자/연구원은 아이디어 도출과 평가, 컨셉 개발, 시장 분석, 제품 개발, 테스트 및 검증, 제품 출시, 시장 모니터링, 제품 개선 등의 단계를 거쳐 제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시장에 선보인다. 각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조사와 실험, 분석이 이루어진다. 이 글을 통해 신제품 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효과적인 개..
유통기한(소비기한) 설정 실험을 위한 용어 정리 ■ 가속실험 : 온도가 물질(또는 성분)의 화학적, 생화학적, 물리학적 반응과 부패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저장온도를 상승시켜 증가된 변화율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아레니우스 방정식(Arrhenius equation)을 사용하여 정상 저장 조건으로 외삽하여 유통기간을 예측하는 실험. ■ 가열 : 식품에 열을 가하여 미생물 사멸, 효소 및 독성 성분의 파괴 등을 유도함으로써 식품에 안정성과 저장성을 부여하는 방법. ■ 가염 : 식품에 소금을 가하여 미생물 생육 억제를 유도함으로써,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 방법. ■ 검증 : 실험을 통해 증명사는 방법. ■ 고온살균 : 100℃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살균하는 방법. ■ 냉동저장 : 식품의 수분을 얼려 효소나 산화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는 저장..
유통기한(소비기한)의 정의 및 용어 정리 _ Definition about Shelf life 유통기한(Shelf life)이란? 제품의 유통기한은 특정한 저장/취급 환경 내에서 식품이 바람직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을 뜻한다. 여기서 바람직한 특성이란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의미하며 미생물적, 화학적, 물리적, 관능적 기준과 연관될 수 있다. 사용기한(Service life)이란? 제품의 "사용기한"은 포장을 개봉한 이후의 사용 가능 기한을 말한다. 포장이 개봉되어 밀폐성을 잃었을 때, 유통기한(shelf life)의 적용을 끝내고 사용기한을 적용한다. 품질유지기한(Best before date)이란? "품질유지기한"은 식품이 바람직한(고유의) 품질을 유지할 때 까지의 기한을 가리킨다.(유럽 규정 상 정의에 의거함.) 기한이 경과해도 판매/섭취할 수 있다.  소비기한(Use by date)..